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데이터 사이언스

AI 선도 기업은 이것이 다르다

디지털
2025. 2. 7.
Jan25_09_1453174673

3년 전 필자가 운영 측면에서 인공지능(AI)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기업에 물었을 때 성과가 뛰어난 기업은 거버넌스, 배치, 파트너십, 인력, 데이터 가용성 등 다섯 가지 영역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고 답했다. 이후 생성형 AI가 등장하며 상황은 크게 변했다. 이에 우리는 2023년 말 자동차부터 광업까지 여러 산업의 100개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고위 임원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여기서 세 가지 주목할 만한 변화를 확인했다. 첫째, 리더 기업과 나머지 기업 간 격차가 더욱 커졌다. 리더(응답자 상위 25%)는 하위 절반의 기업보다 성과 수준이 3.8배 높았으며 이는 2021년 2.7배보다 크게 증가했다. 리더가 차별화된 역량을 지속적으로 구축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복리 효과를 누리면서 성과 격차를 더욱 벌렸기 때문이다.

둘째, AI 투자에 대한 회수 기간이 크게 단축됐다. 조사 대상 기업의 투자 회수 기간은 6~12개월이었다. 2021년에는 선두 기업만이 이 기간 내 효과를 봤으며 후발 기업은 일반적으로 18~24개월이 걸렸다. 이런 변화는 경험을 통해 얻은 학습 효과 덕분이다. 더 나은 거버넌스 관행을 통해 기업은 가장 유망한 활용 사례를 신속히 식별하고 실행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완성도, 접근성, 품질도 모두 크게 개선됐다. 또한 AI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공업체 생태계의 확장으로 기업은 월 단위 비용만으로 일관된 결과를 얻게 됐고 초기 투자비용 절감으로 이어졌다. AI의 가치 창출 가능성이 명확해지면서 과거 실행 비용을 증가시키던 조직적 장벽 또한 크게 완화됐다.

셋째, AI 프로젝트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성공적인 기업은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활용 사례를 더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실행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이런 발전의 네 가지 요인을 보여준다.


1. 경영진 후원

2023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AI 리더 기업의 75% 이상이 C레벨 경영진의 후원을 받았으며 이 가운데 대부분이 CEO나 이사회에서 직접적인 지원을 받았다. AI 프로젝트의 투자수익률ROI을 측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절감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직원에게 부가가치가 높은 업무에 집중할 시간을 확보해 주는 등 간접적인 이점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최신 매거진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