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콘텐츠
보기
최신
주제별
전략
인사조직
마케팅
재무회계
혁신
자기계발
운영관리
리더십
젠더
데이터 사이언스
위기관리
지속가능성
인기
매거진
구독
Premium
동영상
맴버십 세미나
고객센터
로그인
구독
/회원가입
HBR Global
HBR ORG
HBR ARABIA
HBR CHINA
HBR FRANCE
HBR GERMANY
HBR ITALY
HBR JAPAN
HBR TAIWAN
HBR TURKEY
하버드비즈니스리뷰
동아비즈니스리뷰
동아비즈니스리뷰 edu
관심분야 변경
관심분야
변경하기
주제별
전략
인사조직
마케팅
재무회계
혁신
자기계발
운영관리
리더십
젠더
데이터 사이언스
위기관리
지속가능성
회원님의 관심 주제를 등록하고 주제별 최신 콘텐츠를 메인 페이지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 관심 주제 등록하기
최고인사책임자(CHRO)가 훌륭한 CEO감인 이유
지난 수십 년간 기업의 인사팀은 급여나 복리후생제도 관리 같은 일반적인 관리 업무에 주력하고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지원 부서로만 여겨졌다. 하지만 엘리 필러Elli Filler는 지난 15년 사이에 인사팀에 관한 인식이 급격하게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필러는 임원 전문 채용업체인 콘 페리Korn Ferry 스위스 지부의 시니어 클라이언트 파트너로서 글로벌 기업의 최고인사책임자chief human resources officers충원을 전문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리더십 & 인사조직
매거진
2014. 12월호
초고속 혁신
‘Innovate or die(혁신하지 않으면 죽는다)’라는 문구의 기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피터 드러커가 한 말로 유명하지만 다른 사람들도 이 말을 만드는 데 일조했을 것입니다. 어디서 유래했든 이 말에 담긴 ‘한발 앞서 변화하지 않으면 끝장이다’라는 정서는 이제 보편적입니다.
혁신 & 리더십
매거진
2014. 12월호
미지의 영역으로 팀을 이끌려면..
주목할 만한 혁신을 이룬 리더들에게 전통적인 경영 방식, 가령 대표적인 MBA 프로그램에서 가르치는 것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보면 상당히 격한 반응을 듣게 된다. 페이팔, 테슬라, 스페이스X의 공동 창립자인 엘론 머스크는 “우리 계열사들은 MBA 학위 때문이 아니라 MBA 학위에도 불구하고 채용한다는 입장입니다”라고 말한다. 재무관리 소프트웨어 업체인 인튜이트의 공동 창업자인 스코트 쿡은 이런 대답을 내놓는다. “MBA 졸업자들이 회사에 들어오면 처음부터 다시 훈련해야 합니다. 그들이 배운 건 회사의 혁신에 아무런 도움도 안 될 테니까요.”
리더십 & 인사조직
매거진
2014. 12월호
세계 최고의 성과를 내는 CEO들
대부분의 기업가들은 먼 미래를 내다보지 못하고, 몸값을 올리기 위해 단기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만 급급하다는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렇다면 굳건하고 장기적인 성과를 거두는 글로벌 리더는 누가 있을까? HBR이 2014년 ‘세계 100대 CEO’를 통해 그 궁금증을 확실하게 해결해줄 것이다.
리더십
매거진
2014. 11월
철저한 고객 중심주의와 냉철한 리더십,한국 기업도 베조스를 배우자
이번 HBR 11월호에 ‘최고의 성과를 낸 CEO 1위’로 아마존닷컴(이하 아마존)의 창업자이자 CEO인 제프 베조스가 선정됐다. 시장에서 호불호가 강한 경영자로 유명한 그가 쟁쟁한 인물들을 제쳤다. HBR은 객관적이고 확실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재무적 성과와 사회 환경적 성과를 포괄적으로 적용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글로벌 리더들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어 매우 인상적이었다. 베조스는 아마존과 동격이다. 그를 빼고 아마존의 시작과 현재, 미래를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그는 아마존의 중심이다.
리더십 & 전략
매거진
2014. 11월
장기적 역할에 대해
사람들은 제프 베조스의 웃음소리를 조심하라고 말합니다. 그는 인터뷰하는 사람이 깜짝 놀랄 정도로 고음을 폭발시키며 웃습니다. 영화 ‘아마데우스’에서 톰 헐스가 연기한 모차르트의 웃음소리를 떠올리면 될 겁니다. 그는 이렇게 큰 소리로 웃을 만합니다. 물론 책을 쓰는 사람들은 베조스가 출판사들과의 전투에서 불량배처럼 행동한다고 비난해왔고, 아마존이 내놓은 파이어폰은 아직 갈 길이 멉니다. 그래도 베조스는 여전히 승승장구하고 있습니다. 그는 회의적인 눈초리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틀렸음을 증명해왔고 투자자들을 만족시켜왔습니다. 2014년 HBR이 뽑은 ‘세계 100대 CEO’ 중 1위에 오를 만큼이나요.
리더십 & 혁신
매거진
2014. 11월
Life’s Work: 노먼 레어 인터뷰
노먼 레어Norman Lear는 1970년대 ‘올 인 더 패밀리All in the Family’를 비롯해 사실적인 시트콤을 제작하며 미국 TV에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현재 92세인 그는 브로드웨이 스타들의 홍보 담당자와 인기 코미디 작가, 할리우드 제작자 및 감독이자 열렬한 정치 운동가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달 그의 자서전이 출간된다.
리더십 & 인사조직
매거진
2014. 11월
최고 혁신 책임자(CIO)의 100일 계획
축하 드립니다. 당신의 에너지와 성공적인 경력 때문에 이제부터 혁신을 이끄는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기대 수준은 높지만, 혁신이 별도의 기능으로 인정 받지 못하는 과장된 유행어라는 조직 내부의 회의적인 느낌이 있습니다. 그러면, 초기 100일 내 일정한 성과를 보이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혁신 & 리더십
디지털
2014. 10. 2.
Life’s Work: 바비 브라운 인터뷰
바비 브라운(Bobbi Brown)은 레드 립스틱이 지겨웠다. 그래서 1991년 스스로 메이크업 시장에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표방하는 브랜드를 선보였다. 그로부터 4년 후, 에스티로더(Estée Lauder)에서 그에게 현금과 함께 제품 개발 및 마케팅 관련 결정권을 갖는 CCO(Chief Creative Officer, 최고창조책임자) 직책을 제안하며 브랜드 인수 의사를 밝혔다. 세 아이의 엄마이기도 한 브라운이 이끄는 브랜드 ‘바비 브라운’은 꾸준히 업계에서 선도적 위치를 지키고 있다.
리더십 & 전략
매거진
2014. 10월
워렌 베니스를 기억하며
올여름에 향년 89세로 타계한 워렌 베니스는 리더십에 관한 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중 한 명입니다. 그는 리더십을 주제로 20여 권의 저서를 남겼고 수많은 글을 썼습니다. 그 중에는 본지에 기고한 글도 많습니다. 그가 리더십 연구를 학계의 주변부에서 주류로 끌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리더는 독재적이기보다는 민주적이어야 한다고 그는 항상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워렌이 남긴 가장 크고 가장 길이 남을 선물은 그의 관대한 정신입니다. 하버드비즈니스퍼블리싱 CEO이자 워렌의 친구인 데이비드 완은 “모두가 그를 멘토라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리더십 & 운영관리
매거진
2014. 10월
당신은 단순한 네트워크가 아닌 커뮤니티가 필요합니다
인터넷은 정보를 확산시키고 대중의 관심을 얻는데 유용한 도구 입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단순히 웹상에서 연결되어 있다고 해서 그들과 협력하여 궁극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는 없습니다. 인터넷 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으려면 당신은 네트워크에 더 많은 헌신을 해야 하고 그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리더십
디지털
2014. 9. 24.
M&A를 실질적인 성과로 이끄는 리더들
라스베이거스 네바다대 매리 리들(Mary Riddel)과 오리건대 소냐 콜스토(Sonja Kolstoe)의 연구에 따르면 아마추어 카레이서는 대다수 사람들보다 이성적으로 위험을 판단한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발생할 확률이 낮은 부정적 사건을 과도하게 두려워하거나, 낮은 확률로 일어나는 긍정적 사건에 대해 과도하게 기대하는 ‘확률 편향(possibility bias)’에 잘 빠지지 않는다.
리더십 & 전략
매거진
2014. 9월
팀의 능력치를 최대한 끌어내라
캔자스대 마크 J. 란다우(Mark J. Landau)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암산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남은 대학 기간을 멀리 뻗은 길 위의 지점들로 마음속에 그려보는 ‘시각화’ 작업을 지시받은 학생들의 정답률은 51%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은 대학 기간을 죽 늘어선 컨테이너들로 상상해보도록 지시받은 학생들의 정답률은 39%에 불과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장기적인 로드맵을 그리는 것과 유사한 ‘여행 메타포(journey metaphors)’를 활용하면 직원들이 목표 지향적 행동을 취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리더십 & 운영관리
매거진
2014. 9월
Life’s Work: J. 크레이그 벤터 인터뷰
1998년 생명공학 분야의 영리기업 셀레라(Celera)를 설립한 J. 크레이그 벤터(J. Craig Venter) 박사는 정부 주도의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에 도전장을 내밀고 DNA 분석에서 경쟁구도를 형성하며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 경쟁은 2년 뒤 무승부로 끝났다.) 벤터는 2002년 셀레라에서 해고된 뒤 비영리 연구소를 운영하며 생명공학기업 휴먼 롱제비티(Human Longevity)와 신서틱 제노믹스(Synthetic Genomics)도 함께 경영하고 있다.
리더십
매거진
2014. 9월
여성인력 확대 전략은 문화권마다 달라야 합니다
조직의 리더십에서 차지하는 여성의 비율은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낮지만, 국가마다 놀라운 차이가 있습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기업 이사회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일본에서는 1~2% 수준이지만 미국에서는 17%, 그리고 노르웨이와 같은 국가에서는 훨씬 더 높은 4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리더십 & 운영관리
디지털
2014. 7. 29.
경영자를 위한 티키타카
2009년 4월 1일, 카디프 시티 밀레니엄 스타디움에서 독일과 웨일즈 국가대표팀간의 월드컵 예선 경기가 열렸다. 독일이 2-0으로 앞서가고 있던 후반 22분, 독일의 주장 미하엘 발락은 같은 팀 루카스 포돌스키에게 무언가를 지시한다. 언뜻 보기에는 평범해 보이는 이 상황이 두 명의 선수간의 감정 갈등을 유발했다. 결국 이 상황은 포돌스키가 발락의 뺨을 때리는 것으로 마무리 된다.
인사조직 & 리더십
디지털
2014. 7. 11.
스타트업은 최소 요건 브랜드 전략(MVB)이 필요합니다
때때로 스티브 잡스의 현실왜곡장(Reality Distortion Field)이 실리콘밸리에 만연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몇몇 열정적인 창업가들은 자신들의 신제품이 매우 뛰어나고 기존의 다른 제품들과 다르기 때문에, 판매만 시작한다면 소비자들이 열광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스타트업은 여러 용도로 사용 가능한 핵심기술을 개발해놓고 여러 용도 중 어느 분야에서 가장 매력적일지 확신하지 못해 일단 출시한 다음 시장과 소비자들이 용도를 결정할 수 있게 했습니다.
마케팅 & 리더십
디지털
2014. 7. 8.
“회사가 나를 필요로 했기에 돌아왔다.”
모국인 중국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양위안칭은 2001년 레노버 창업자 류촨즈(柳傳志)가 회장이 되면서 CEO 자리에 올랐다. 그 뒤로 3년 동안 CEO로 일한 양위안칭은 류촨즈의 뒤를 이어 회장으로 취임했다. 이 두 사람은 2005년 IBM의 PC 사업부를 인수하는 충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이 거래로 레노버(당시 명칭은 Legend)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컴퓨터 제조업체가 됐다.
리더십 & 혁신
매거진
2014. 7-8월
Life’s Work: 펠레 인터뷰
결코 제 자신이 리더가 되기를 바랐던 건 아니었어요. 자연스레 그렇게 됐습니다. 모든 관심이 제게 집중됐죠. 전 단지 동료들에게 최선의 메시지를 전해주려고 애썼을 뿐이에요. 제가 살면서 중요하다고 느낀 점들을요. 물론 경기장 밖에는 코치들이 있었죠. 코치들이 제게 자율권을 줬기 때문에 그들과 사이가 꽤 좋았지요. 다만 경기장이 워낙 크니까 밖에 서 있는 코치의 말이 선수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따라서 메시지를 전달하고 팀을 정비하도록 돕는 리더 역할을 맡아야 했죠.
자기계발 & 리더십
매거진
2014. 7-8월
현금 거래만 하는 러시아에서 전자상거래 왕국 ‘오존’을 건설하다
처음에는 오존(Ozon)과 관련된 일을 할 생각이 전혀 없었다. 나는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서 파트너 승진 대상으로 물망에 오르고 있었고 오존은 우리 고객사 중 가장 작은 편에 속했다. 이 회사가 승진에는 별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았지만 선임 파트너가 고집하는 바람에 내가 오존의 일을 총괄하게 됐다. 그로부터 몇 달 뒤에 나는 보스턴컨설팅그룹을 떠나 오존의 세일즈 및 마케팅 이사가 됐다. 그리고 1년 반 뒤인 2011년에는 CEO를 맡았다.
리더십 & 운영관리
매거진
2014. 7-8월
미국 경영진은 왜 그처럼 막대한 보수를 받을까?
미국 기업의 CEO들은 엄청난 보수를 받는다. 미국 최대 노조 조직인 산별노조총연맹(AFL-CIO)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S&P 500대 기업 CEO의 보수는 평균적으로 생산직•일반직 직원 보수의 331배에 이른다. 그러나 이조차도 턱없이 낮은 수준이라는 의견이 있으니 현재의 경영자 임금 수준이 합당한지는 논외로 하고 어떻게 지금의 상황으로 치달았는지 살펴보자.
리더십
매거진
2014. 7-8월
Editor’s Pick
현금만 거래하는 국가에서 전자상거래 사업을 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러시아의 아마존으로 불리는 오존은 이 일을 해냈습니다. 현지에 최적화된 자체 유통망을 직접 구축하고 물류 시스템을 새로 만드는 등의 전략을 통해 오존은 독보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했습니다. 전략을 뒷받침하는 조직문화도 중요합니다.
전략 & 리더십
매거진
2014. 7-8월
21세기의 인재 발굴
몇 년 전 나는 가족기업 형태의 어느 전자제품 소매기업에서 새로운 CEO를 찾는 일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 회사는 전문경영인을 고용해 사업을 확장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나는 퇴임할 CEO 및 이사회의 긴밀한 협조하에 이 자리에 적합한 역량이 무엇인지 찾아내고 후보자들을 발굴해 평가하는 작업을 했다. 우리가 채용한 사람은 그 자리에 맞는 모든 자격을 갖추고 있었다.
리더십 & 인사조직
매거진
2014. 6월
‘준비’는 성공의 열쇠 조에티스 CEO 임명 전 18개월 트레이닝받다
내 커리어 대부분에 걸쳐 미국 공개기업의 CEO가 되기를 열망했던 적은 없다. 나는 스페인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수십 년간 직장 생활을 했다. 나는 금융 전문가였다. 주 업무는 회계 감사와 재무 관리였다. 첫 직장은 은행이었고 그 뒤 텍사스인스트루먼트와 폴라로이드를 거쳤다. 그러나 금융 분야에서 쌓은 커리어를 기반으로 대기업 내에서 회사의 전반적인 운영을 맡는 관리자가 되고 싶다는 결심을 했다.
리더십
매거진
2014. 6월
조직을 이끌려면 업무를 선별해서 집중해야 한다
미 해군과 같이 비슷한 독립조직이 서로 의존하는 형태의 대규모 복합 조직체를 이끌어가려면 특별한 정책이 필요하다. 먼저 당신이 이끄는 조직 특유의 강점과 역할에 따라 주요 업무를 선별해 집중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미 해군이 집중하는 업무는 시위(示威·presence)다. 미 해군 병력(수병과 해병)은 끊임없이 이동하며 외국 땅을 한 발자국도 밟지 않고 장기간 머무를 수 있다. 미 해군은 적소(適所)에서 적시(適時)뿐만 아니라 항시(恒時) 대기하고 있다.
리더십 & 인사조직
매거진
2014. 6월
Special Interview: 김위찬 · 르네 마보안 인시아드 교수
전략을 이끄는 주체가 리더라는 점에서 전략과 리더십 사이에는 명확한 연관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리더십이 전략 분야에서 연구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죠. 리더십은 일반적으로 조직행동론(Organizational Behavior)에서 다루는 주제입니다. 조직행동론의 관점에서는 주로 공급 측면에서 리더가 어떤 사람이 돼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이뤄집니다.
리더십 & 인사조직
매거진
2014. 6월
Life’s Work: 루스 라이셜 인터뷰
이력서에는 없지만
에서 관리직을 맡은 경험이 있습니다. 제가 음식 섹션에 대해 계속 항의하니까 그럼 네가 한번 맡아 해보란 식이 됐거든요. 직원 스무 명을 데리고 편집자로 일했습니다. 신문사에선 항상 “경영 수업을 해주겠다”고 말했지만 시간이 나지 않았어요. 제가 맡은 사람들은 기자나 리포터가 아니라 저와 공통점이 거의 없는 가정학자였습니다.
자기계발 & 리더십
매거진
2014. 6월
Editor’s Pick
인재를 선발하는 기준은 시대에 따라 변했고 지금이 네 번째 시대라고 합니다. 첫 번째 시대는 근력이나 지구력 등 신체적 특징을 중시했습니다. 피라미드를 건설하거나 농사 일을 잘 수행할 수 있는 건장한 인재를 찾기 위해 이런 기준이 만들어졌고 수천 년 동안 이어졌다고 합니다. 두 번째 시기는 지능이나 경험을 중시하던 시대였습니다. IQ 높은 인재가 최고로 여겨졌던 시절입니다.
전략 & 리더십
매거진
2014. 6월
아버지의 철물점에서 얻은 교훈
회계 감사관은 건물 검사관과 비슷한 성격의 일을 한다. 사업체의 구조와 시스템을 확인하고 투자자들이 확신을 가지고 자금을 투자할 수 있도록 해당 사업체가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입증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하지만 어릴 적부터 내 아버지가 운영하던 클리블랜드에 있는 철물점에서 일손을 도우며 자랐기 때문에 나는 언제나 이 직업이 품고 있는 다른 면을 좋아했다. 그건 바로 사람들이 뭔가를 실제로 만들어내는 일을 도와주는 것이다.
리더십 & 운영관리
매거진
2014. 6월
월스트리트 딜레마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 클레이 크리스텐슨은 오랫동안 기업의 혁신과 경쟁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1977년에 출간한 저서 <혁신 기업의 딜레마>는 애플의 스티브 잡스와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 같은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었습니다. 이번 호 이슈에서 크리스텐슨은 또 하나의 중요한 논제를 제시합니다. 바로 ‘기업이 자본은 많이 갖고 있는데도 혁신에 적게 투자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전략 & 리더십
매거진
2014. 6월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지금, 서비스 구독을 시작하세요!
사이트맵
최신
주제별
인기
추천
매거진
디지털
세미나
이벤트
고객센터
매체소개서
구독
정기 구독
낱권 구매
회원가입
이용안내
공지사항
자주 묻는 질문
구독 및 배송문의
1:1 문의
help@hbrkorea.com
매거진 광고 문의
jj0417@donga.com
마케팅 제휴
yms@donga.com
Premium 동영상
최신영상
베스트
전략/혁신
HR/리더십
마케팅
운영/재무
자기계발
사이트맵
Latest
Topics
Popular
HBR Curation
Magazine
Seminar
Event
고객센터
매체소개서
Subscribe
월 자동결제/연간 구독
낱권 구매
HBR SNS
Facebook
Instagram
Naver Post
이용안내
공지사항
자주 묻는 질문
전화/이메일 문의
- 구독 및 배송문의
E. help@hbrkorea.com
- 매거진 광고 문의
E. jj0417@donga.com
- 마케팅 제휴
E. yms@donga.com
HBR Premium
최신영상
베스트
전략/혁신
HR/리더십
마케팅
운영/재무
자기계발